현종 #예송논쟁 #기해예송 #서인 #남인 #송시열 #장렬왕후 #붕당정치 #조선후기 #책문무역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1660년, 효종의 죽음과 제1차 예송 논쟁의 시작 1660년, 효종의 죽음과 제1차 예송 논쟁의 시작1660년은 조선의 18대 국왕인 현종(顯宗)이 즉위한 첫 해로, 전왕인 효종이 갑작스럽게 승하하면서 발생한 정치적 격변의 한복판에 놓여 있었습니다. 이 시기는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한 북벌(北伐) 정책이 동력을 잃고, 조선 후기 역사의 흐름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예송 논쟁(禮訟論爭)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.효종은 1659년, 재위 10년 만에 종기 치료 중 예기치 않은 죽음을 맞이했습니다. 그의 아들인 현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, 조정은 효종의 장례와 관련된 중요한 문제를 해결해야 했습니다. 그것은 바로 인조의 계비이자 효종의 계모인 장렬왕후(莊烈王后)가 효종을 위해 얼마나 긴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였습니다. 이 문제는 단순히 예.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