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10월부터 ‘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’가 시행됩니다. 이제 만 55세 이상 종신보험 가입자는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연금처럼 당겨 쓸 수 있습니다. 노후 소득 공백을 줄일 새로운 제도, 지금부터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.
💡 사망보험금 유동화란?
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 사망보험금의 일부를 생전에 연금처럼 받는 제도입니다. 기존에는 피보험자가 사망해야만 지급되던 보험금을, 은퇴 이후 노후 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미리 당겨 쓸 수 있게 제도화한 것이죠.
당초 65세부터 적용하려 했지만, 은퇴 시점과 연금 개시 시기의 간격을 고려해 55세 이상으로 확대되었습니다.
✅ 신청 대상 및 조건
- 만 55세 이상 금리 확정형 종신보험 계약자
- 사망보험금 9억원 이하
- 보험료 납입 완료 (계약·납입 기간 10년 이상)
-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
- 보험계약 대출(약관대출) 잔액이 없는 상태
추후에는 금리 변동형 종신보험으로도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.
📌 받는 방법과 수령 형태
사망보험금 유동화는 보험 영업점에서 신청만 하면 되며, 별도 비용은 없습니다.
- 유동화 비율: 최대 90%까지 설정 가능
- 수령 기간: 최소 2년 이상, 연 단위 선택
- 수령 형태:
- 월 지급형 (월급처럼 매달 지급, 2026년 초 시행 예정)
- 연 지급형 (연 1회 수령, 2025년 10월 시행)
- 서비스형 (요양·간병·주거 서비스 등, 추후 도입 예정)
🧮 실제 계산 예시
A씨 사례 (보험금 1억원짜리 종신보험, 20년간 총 2088만원 납입)
- 유동화 비율 70%, 수령 기간 20년 선택
- 55세부터 받을 경우: 월평균 약 14만원
- 75세부터 받을 경우: 월평균 약 22만원
👉 수령 시점을 늦출수록 월 수령액과 총액이 늘어납니다.
⚖️ 장점과 유의사항
장점
- 노후 소득 공백 해소
- 납입한 보험료 100% 이상 수령 가능
- 남은 사망보험금은 유족에게 지급
유의사항
- 연금 전환 시 총액은 원래의 사망보험금보다 적을 수 있음
- 연금은 해약환급금 성격이 강해, 사망 시 일시 지급액과 차이 발생
❓ 자주 묻는 질문
Q. 반드시 신청해야 하나요?
아니요. 선택 사항이며, 필요할 때만 신청하면 됩니다.
Q. 언제부터 신청할 수 있나요?
연 지급형: 2025년 10월부터 / 월 지급형: 2026년 초
Q. 어떤 보험사에서 먼저 하나요?
한화생명, 삼성생명, 교보생명, 신한라이프, KB라이프
📌 한눈에 요약
- 대상: 만 55세 이상 종신보험 가입자 (금리 확정형 우선)
- 조건: 보험료 완납·사망보험금 9억 이하·대출 없음
- 방식: 최대 90%까지 유동화, 월/연 지급 선택 가능
- 시행: 2025년 10월(연 지급형) / 2026년 초(월 지급형)
반응형